"지과필개(知過必改)" - 잘못을 알고 반드시 고친다, 인생을 바꾸는 비장의 카드

반응형

살면서 실수를 한 번도 하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요?

실수는 인생의 무료 옵션입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 실수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죠.

 

이때 우리를 구원할 수 있는 지혜의 한 조각이 바로 '지과필개(知過必改)'입니다.

이 사자성어는 말 그대로 "잘못을 알면 반드시 고친다"는 뜻을 담고 있는데요,

지과필개

 

말은 쉽지만 이 행동을 실천하는 건 결코 간단하지 않습니다. 오늘은 이 말의 뿌리부터 어떻게 일상에 적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주는 재미있는 깨달음까지 탐험해 보겠습니다.

1. 역사적 배경

이 말의 탄생지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중국의 공자(孔子)가 웃으며 "그래, 너희들 잘못했으면 그냥 고쳐"라고 한 것으로 시작된 되었다 말하면 이상하겠죠.. 논어(論語)》의 여러 부분을 보면, 공자께서는 꾸준히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라고 하신 말씀이 있습니다. 이 말은 "잘못이 있으면 고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라"는 뜻인데요,

우리 식으로 번역하자면 "실수했을 때 꽁꽁 숨지 말고 고쳐라, 그게 진짜 멋진 거야!"라는 거죠.

 

공자는 이 개념을 통해 지도자와 평범한 사람들 모두에게 '자기 성찰의 무기'를 선물했습니다. 재미있게도, 후대의 학자들은 이 가르침을 통해 "리더는 자신이 잘못했을 때도 우아하게 인정할 줄 알아야 한다"는 교훈을 덧붙였습니다.

 

공자님, 대단한 분이었죠? 그가 이런 가르침을 남겼으니,

 

이제 우리는 실수에 뒷걸음질 치는 대신, 멋지게 털어내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공자님의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실수는 여의도에서도 하고, 주방에서도 한다

이제 과거를 지나 현대의 번잡한 세상으로 돌아와 봅시다. 

직장에서는 큰 프레젠테이션 중 중요한 슬라이드를 빼먹은 경험, 집에서는 소금을 설탕으로 착각한 요리 실수, 누구나 한 번쯤 겪어본 일입니다.

실수

이런 상황에서 대부분은 핑계를 찾느라 급급하죠. "프린터가 고장 났다", "조명이 너무 밝았다", 혹은 "우주의 기운이 좀 삐걱댔다" 등등. 그러나 '지과필개' 정신을 적용하면, 고개를 들고 "네, 제가 그 슬라이드 뺐습니다. 바로 수정하겠습니다"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를 갖게 될겁니다. 

 

이런 태도는 사회생활의 마법 같은 윤활유와도 같습니다.

 

실수를 인정하고 개선하는 사람은 동료의 신뢰를 얻고, 조직 내에서도 "어, 저 사람 믿을 수 있네"라는 평가를 받게 됩니다.

 

그러니 다음번에 무심코 실수를 저지르면,

공자님이 뒷짐지고 웃고 계신다고 생각하고 "이게 바로 성장의 순간이다"라고 스스로에게 말해보세요.

 

신기하게도, 그렇게 말하는 순간 스트레스가 좀 덜어집니다.

 

자, 이쯤에서 '지과필개'를 실제로 어떻게 재밌게 사용할 수 있을지 이야기해볼까요?

친구와의 일상 속 대화에서 이 사자성어를 가볍게 꺼내는 상상을 해봅시다.

 

친구가 "어제 소개팅에서 너무 긴장해서 메뉴를 다 쏟았어"라고 하소연하면, 우리는 웃으며 "지과필개의 기회다!"라고 말해줄 수 있습니다. '자괴필개가 뭔지는 알지?' 라고 이야기 하면서 아는체를 해볼수도 있죠.물론 "그 메뉴는 다시 주문할 수 있다"라는 위트 섞인 응원도 함께 할수 있죠.

3. 인생의 나침반으로서의 '지과필개'

완벽하지 않은 인간은 실수를 통해 성장합니다. 잘못을 인정하고 개선하는 과정은 겸손함을 배우고, 용기를 내어 앞으로 나아가게 만드는 힘입니다.

나침반

실수는 피할 수 없지만, 그것을 어떻게 대처하느냐가 우리의 성장을 결정짓습니다.

실수를 고치지 않는 사람은 같은 패턴에 머무르고, 실수를 기회로 삼는 사람은 인생의 승리자로 나아갑니다.

 

자신의 잘못을 고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마세요.

대신 이를 재밌고 창의적으로 받아들이세요.

 

언젠가 어떤 어려운 순간에 이 말을 떠올리고

"아, 이건 내가 더 나아질 기회구나"

 

라고 생각하는 그 순간, 여러분은 이미 한 단계 더 성숙해진 것입니다.

 

그러니 잊지 마세요.

 

'지과필개'는 단순한 사자성어가 아니라, 오늘과 내일을 더 나은 나로 만들기 위한 비장의 카드입니다.

반응형
네이버 애널리틱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