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광진구의 한 구석, 아차산 자락과 한강이 만나는 곳에 자리한 구의동. 이곳의 이름은 어떻게 유래되었을까?
단순한 지명을 넘어, 구의동이라는 이름 속에는 조선시대부터 이어져 온 역사와 아름다운 자연이 함께 녹아져 있습니다.
구의동 동이름의 유래
조선시대, 구의동은 조선시대 경기 양주군 고양주면 구정동・산의동・율동 지역으로, 구정동 (九井洞)과 산의동 (山宜洞)이라는 두 개의 자연마을로 나뉘어 있었습니다. 1914년 경기도 양주군 고양주면 구정동·산의동·율동, 경성부 두모방(성외) 전곶계 능동・율동 일부를 합하여 경기도 고양군 독도면 구의리라고 하였으며, 광복 후 1949 서울특별시에 편입될 때 성동구 구의리가 되었으며, 뚝도출장소에서 행정을 맡아보았고, 1950년 구의리는 구의동이 되었다가, 1995년 광진구 구의동이 되었습니다.
먼저 구정동은 마을 안에 9개의 우물이 있어 '아홉 우물'이라는 뜻으로 불렸던 지역인데, 맑고 시원한 우물물은 마을 사람들의 삶에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자원이었을 것입니다. 두번째 마을인 산의동은 말 그대로 산기슭에 위치한 마을을 일컫는 말로, 아차산의 품에 안겨 자연과 함께 살아가던 사람들의 삶을 엿볼 수 있는 이름입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구정동과 산의동이 합쳐지면서 구정동의 '구'와 산의동의 '의'를 따서, 두 마을의 역사와 특징을 간결하게 담고 있는 '구의'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탄생했는데, 구의동이라는 구정동과 산의동 이름이 합쳐진 만큼 '구의'라는 이름 속에는 역사와 자연이라는 두 가지 키워드가 공존하고 있습니다. 구정동의 9개의 우물은 마을 사람들의 삶을 떠받치는 생명의 근원이었고, 산의동의 아차산은 넉넉한 품으로 마을을 감싸 안은 것처럼 이 두 가지 의미는 "구의동"이라는 이름에 생명력을 불어넣고, 오랜 시간 동안 사람들의 기억 속에 자리매김하게 했습니다.
서울에 편입되면서 구의동은 더욱 발전했지만, 그 안에는 여전히 조선시대부터 이어져 온 역사와 자연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아차산 자락을 따라 산책을 하다 보면 과거 마을 사람들이 살았던 터전과 우물터를 상상해 볼 수 있지 않을까요?
구정동에 대한 다른 이야기
구정동(九井洞)으로 불렀던 구정의 의미는 비둘기가 머물러 있다는 뜻으로 鳩停洞(구정동)으로 쓰기도 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이름이 생긴 이유는 풍수지리학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쉽게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는데, 중랑천과 한강이 만나는 지점 이른바 뚝섬이라는 불리는 부근을 살펴보면 한 마리 새의 머리모양 처럼 보이는데, 이렇게 볼 때 구의동의 위치는 새의 몸통 부분이 됩니다. 새 중에서 구자(字)가 쓰이는 것은 비둘기(鳩)와 갈매기(鷗)가 있는데 이곳 구의동이 의미하는 것은 그 모양으로 볼 때 갈매기보다는 비둘기로 보이며, 비둘기는 평화를 지향하고 중재의 역할로 모든 길목의 사통팔달(四通八達)의 중심이 되는 곳을 의미합니다.
구의동 지역의 특징
구의동 지역은 전체적으로 아파트 보다는 단독 주택지가 많으며, 중산층 이상이 거주하는 안정된 주거 지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구의역 주변 미가로거리 중심은 상가 밀집지역으로 요식업이 발달해 있으며, 지하철 2호선과 자양로, 구의로, 광나루길을 통과하는 교통 요충지역이기도 합니다.
천호대로, 광나룻길, 구의로가 동서로 지나가고, 천호대로 밑으로는 지하철 5호선이 지나며, 강변역 서쪽에는 동서울종합터미널이 있어 시내와 시외로 편리하게 움직일 수 있는 교통이 편리한 지역입니다.
특별한 기관으로 지체부자유 청소년을 위한 정립회관이 있고, 강북지역 주민들의 식수공급원이 되는 구의 아리수 정수센터가 있습니다.
행정동으로 구의1동, 구의2동, 구의3동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동별 기본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동명 | 인구 | 세대수 | 통 | 반 |
구의제1동 | 31,111 | 13,152 | 27 | 219 |
구의제2동 | 26,043 | 11,511 | 21 | 185 |
구의제3동 | 27,823 | 12,056 | 31 | 218 |
강변역
강변역은 한강 주변의 많은 주민들이 자리잡고 있던 삶의 터전이었습니다. 현재는 동서울터미널, 테크노마트,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있으며, 옛날처럼 교통의 편리함이 자리 잡고 있는 지역입니다.
구의동 고구려 유적지
- 위치: 서울 광진구 구의동 해발 53m 구릉 정상부
- 발굴 시기: 1977~1988년 (화양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 과정)
- 현재 상태: 유적 파괴, 흔적 없음
현재 구의동 유적지는 남아 있지 않지만 발굴 당시 한강 유역에서 고구려가 활동했던 중요한 역사적 사실을 보여주는 소중한 유산이었습니다. 1977년 발굴결과 400점 가꾸운 토기와 다량의 철제유물이 출토되었는데, 다양한 생활용기와 1300여 점에 이르는 철제 화살촉이 눈길을 끌었다고 합니다.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발굴된 고구려 유적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었지만 지금은 사라지고 없습니다. 보루가 자리했던 구릉은 깍여 나갔고, 1983년에 고층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보루의 흔적은 사진으로만 남아있습니다.
영화사(永華寺)
- 위치 : 서울 광진구 영화사로 107
영화사의 역사는 신라시대 의상대사 용마봉 아래에 화양사를 창건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화양사는 아름다운 꽃과 빛나는 햇살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으며, 당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운 절이었을 것입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영화사는 몇 차례 자리를 옮기게 됩니다. 태조 4년에는 용마봉 아래 군자동 산기슭으로 옮겨졌고, 이때 절의 등불이 궁궐까지 비쳤다는 전설이 전해지면서 영화사로 이름을 바꾸게 됩니다. '영화'라는 이름에는 불교가 번성하고 영화롭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이후 중곡동으로 다시 옮겨졌다가 1907년 현재의 위치로 자리 잡으면서 오늘날의 영화사가 되었습니다.
영화사에는 극락보전(極樂寶殿)을 중심으로 삼성각(三聖閣)·미륵전·선불장(選佛場)·요사채 등이 현존하고 있으며, 미륵전 안에는 높이 약 3.5m의 미륵석불입상이 있는데, 세조가 이 불상 앞에서 기도를 드리고 지병을 치유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현재의 영화사는 넓은 부지와 고목, 우물, 약수 등 자연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공간으로, 도심 속에서 벗어나 고즈넉한 분위기 속에서 명상과 휴식을 취하기 좋은 곳이라 지역주민을 비롯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 곳입니다.
특히 학생들의 법회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불교문화를 배우고 체험할 수 있습니다.
구의 아리수 정수센터
구의 아리수 정수센터는 서울의 오랜 역사를 담고 있는 시설로,
- 일제강점기 (1941년 이전):
- 1936년 착공, 1941년 준공된 제1정수장: 뚝도정수장과 함께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정수장으로, 당시 서울 시민들에게 깨끗한 물을 공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 한국전쟁 이후 (1950년대):
- 1959년 제2정수장 건설: 한국전쟁 이후 재건의 일환으로 건설되었으며, 당시 국내 최대 규모의 생산량을 자랑했습니다.
- 산업화 시대 (1970년대):
- 1974년 제3정수장 건설: 산업화와 함께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1단계와 2단계에 걸쳐 생산량을 확대했습니다.
- 1980년대:
- 1984년 제4정수장 건설: 서울 동북부 지역의 수요 증가에 대응하여 건설되었으며, 중랑구, 광진구 등 7개 구 170만 명에게 깨끗한 물을 공급하게 되었습니다.
- 2002년 1, 2 정수장 폐쇄: 노후화된 시설을 대체하고 더욱 효율적인 정수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1,2 정수장을 폐쇄했습니다.
- 2010년 3 정수장 폐쇄 및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수질 개선을 위해 고도정수처리시설을 도입하고, 기존의 3 정수장을 폐쇄했습니다.
- 2011년 취수장 이전: 수질 보호를 위해 취수장을 한강 상류인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로 이전했습니다
2007년 등록 문화재로 지정되어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다양한 견학프로그램을 통해 정수처리 과정을 직접 눈으로 보고 체험할 수 있습니다.
각 정수장의 특징 및 의미
제1정수장: 일제강점기의 산업 시설로서 역사적 가치가 높으며, 근대 상수도 시설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입니다.
제2정수장: 한국전쟁 이후 재건 시대에 건설되어 서울의 수돗물 공급에 기여했으며, 당시 최첨단 기술이 적용된 시설이었습니다.
제3정수장: 산업화 시대의 급격한 도시화에 따라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서울 동북부 지역의 수돗물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제4정수장: 최신 기술을 도입하여 효율성을 높였으며, 서울 동북부 지역의 주민들에게 안정적인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우리동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동네이야기 -군자동(君子洞) (4) | 2024.09.02 |
---|---|
우리동네이야기 -능동(陵洞) (0) | 2024.08.17 |
우리동네이야기 - 광장동 (0) | 2024.08.02 |
우리동네이야기 - 중곡동 (0) | 2024.07.30 |
우리동네이야기-신내동(新內洞) (0) | 2024.07.29 |